되도록 표준어 쓰자 外

2003.08.07

되도록 표준어 쓰자

제533호 특집기사 '표준어의 수난'을  읽었다. 표준어를 쓰라고 강제하는 법은 없지만 표준어 규정도 우리의 약속이다. 물론 재미삼아 사투리를 쓸 수는 있다. 하지만 인터넷 언어와 사투리는 되도록 쓰지 말아야 한다. 인터넷 언어와 사투리는 좋은 의미로서 다양성을 나타낸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사회통합성을 크게 해친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세대와 아날로그 세대 등 여러 계층간에 간격을 벌리는 것이다.

인터넷 언어는 창의력의 발휘라기보다는 우리말 어법이 어렵다고 생각하거나 귀찮아서 제멋대로 쓰기 때문에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 약간은 편리할 때도 있지만 결국은 자신에게 큰 손해가 될 것이다. 사회생활에서 말하기와 글쓰기는 큰 수단이 된다. 어법에 맞는 언어생활을 몸에 익혀야 자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이재숙(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 238)/

북핵 문제 주변국 역할 중요

제532호 '김정일 제거'라는 표지 속에 북한정권교체 시나리오가 적혀 있는 기사를 읽었다. 북핵 문제는 이젠 심각한 상황으로 접어들었다. 핵개발 시인부터 시작해서 IAEA-NPT 탈퇴, 플루토늄 재처리 완료설, 핵무기 생산 주장 등 최근 들어 북한의 강경한 발언이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이것은 핵을 보유하려고 하는 의도인지 아니면 단순한 미국과의 협상용 카드인지 애매한 분위기다. 이런 시점에서 북핵 문제는 평화적 해결의 문을 좁히고 있다.

이에 맞서 미국은 경수로 사업 중단과 공-해상 봉쇄작전결의안 등 대북 압박 수위를 더욱 높여가고 있다. 여전히 북한은 다자회담에 앞서 북-미간 양자회담을 먼저 요구하고 있고, 반면 미국은 5자 또는 6자회담(다자회담)을 고집하고 있다. 서로 팽팽한 줄다리기만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 문제가 이젠 세계의 문제로 대두된 만큼 북한은 핵 자체를 포기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에 따라 한국-일본-중국-러시아 등 주변국의 중재가 대단히 중요하다. 일명 '한계선(red line)'을 넘은 것으로 간주된 이 시점에서 주변국의 중재에 국민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김현직(독자메일)/

국정운영 원칙 흔들려선 곤란

제532호 특집기사 중 '대통령 상황논리가 문제다' 기사를 읽고 쓴다. 이 기사를 읽고 참 많은 생각을 했다. 아무리 작은 조직의 장이라고 하더라도 자주 마음을 바꾸고 혼란스러운 지침을 내리면 그 조직의 발전을 기대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하물며 한 나라의 대표자의 생각과 참모들의 생각이 정부 출범 5개월이 넘은 지금까지도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금이라도 현실을 인식해 초기의 입장을 버리고 새로운 원칙을 세워야 한다"는 한나라당의 한 의원의 말이 절실하게 다가온다.

/조범희(서울 은평구 신사동 356)/

전문 시사용어 해설 첨부했으면

〈뉴스메이커〉를 구독하게 된 것은 바쁜 일상 때문에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뉴스도 제대로 못보기 때문이었다. 재미있고 알차게 읽고 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성인에 국한된 정보지가 아닌 가족이 다함께 볼 수 있는 시사주간지가 됐으면 한다. 사실 나라 경제나 문화-교육 등 모든 측면에 관심은 있지만 실제로 아는 것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뉴스메이커〉에 의존하게 되는데 전문용어에 대한 부수적인 설명이 없어 다소 어려움이 있다. 그럴 때에는 읽기조차 싫어 그냥 넘길 때가 많다.

타사 예를 든다면 쉽게 보는 경제-과학-문화-정치를 따로 만들어준다. 똑같은 내용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때 난 처음으로 정보를 얻는 즐거움을 느꼈다. 더 알차고 유익한 시사주간지를 만들어주길 바란다 .         

/김기영(대구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 840)/

[독자발언대]담뱃값 인상은 경제 악영향

통계청이 7월 15일 발표한 '6월 소비자전망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평가지수는 62.7로서 지난 5월보다 4.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8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자료에서 보듯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기는 현재 외환 위기 이후 최악이다.  이러한 때 김화중 보건복지부 장관이 담뱃값을 대폭 올리겠다고 밝혀 흡연자들을 더욱 우울하게 하고 있다. 금연구역의 확대조치로 흡연자는 이제 건물 밖으로 밀려나는 처지에 봉착했다. 그런데 김 장관은 선진국과의 형평성과 잣대를 운운하며 담뱃값 인상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는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세상사는 역지사지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남의 염병이 내 고뿔만 못하다'고는 했다지만 비흡연자의 흡연자에 대한 칼날이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마구잡이식 철퇴와 내몰기 행태는 지양해야 옳다고 본다. 복지부의 의도대로 담뱃값을 대폭 올리면 연쇄적인 물가 인상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또한 국내 담배 농가 역시 상당수가 담배농사를 포기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홍경석(대전 중구 용두동 112)/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매체별 인기뉴스]

      • 경향신문
      • 스포츠경향
      • 주간경향
      • 레이디경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