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19일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주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한 68개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 4.5일제 시범사업은 경기지역 민간기업 67곳과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인 경기콘텐츠진흥원 등 68곳을 대상으로 임금 축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제도를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업 유형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 주 4.5일제(요일 자율 선택), 주 35시간, 격주 주 4일제 등 다양하게 운영된다.
업무 협약에 따라 참여 기업 및 기관의 사용자와 노동자는 시범사업에 협력하고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사업 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한다.
참여 기업들에는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의 임금 보전 장려금과 기업당 최대 2000만원의 맞춤 컨설팅 및 근태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게 된다.
시범사업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한시적으로 추진하고 노동생산성, 직무만족도 등 44개 세부지표를 통해 성과를 분석한다.
도는 분석 결과를 통해 적정 노동시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전국 확대가 필요한 경우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IT, 제조업, 언론사까지 다양한 조건과 특성을 가진 기업으로 구성됐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4.5일제를 본격 시행하면 일주일의 삶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전국 최초로 시범사업을 하게 됐다”며 “분명히 생산성과 삶의 질을 조화롭게 하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4.5일제는 시범적으로 하기 때문에 정착된 제도가 아니라 정착화를 시키려는 것”이라며 “시범사업 기간 더 잘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 개선하는 등 생각하지 못했던 점을 찾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