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적인 의미로 봤을 때, 이니셔티브란 자기가 알아서 상황 판단을 하고, 남들이 움직이기 전에 먼저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학교에 있든 업계에 있든 미국에서는 이 능력이 없다면 생존하기 어렵다. 한국에 있을 때는 어른과 대화할 때는 눈을 피하고 목소리를 작게 하고 결코 말대꾸를 하지 말라고 배웠다. 미국에서는 사람과 대화할 때는 그 사람의 사회적 위치가 어떻든 나이가 몇 살이든 눈을 똑바로 보고 자신감 있게 말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질문을 하지 않으면 겸손한 사람이 아니라 바보로 취급받는다. 대학원에 들어와서 세미나에 들어갈 때는 어설프게 말하더라도 일단 말하는 게 낫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가 어떤 말을 했는지는 잊을지라도, 내가 말은 했다는 그 사실만큼은 기억하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는 아무 말도 못하는, 그래서 아무 생각도 없는 사람처럼 보이는 것이다.
비슷한 예로, 한국에서는 직장에서는 상사가, 학교에서는 지도교수가 내가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계획을 잡아주고 그 과정을 지도해준다. 여기서는 꼭 그렇지는 않다. 박사 논문 위원회 지도교수들과의 지난 수년간의 관계를 생각해볼 때 그 분들이 먼저 만나자고 해서 만났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매번 내쪽에서 먼저 일정을 잡고 생각하고 있는 아이디어를 이야기했고 진행방식을 결정했다. 박사 과정에 있는 학생이라면 당연히 그 정도 이니셔티브는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존재한다. 그리고 반대로 그렇게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줘야 지도교수 쪽에서도 학생과 더 많은 것을 협업하고 지원할 인센티브가 생긴다. 두드려야 문이 열리지, 가만히 앉아 있는다고 밥그릇을 챙겨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물론 이런 이니셔티브가 모든 학생들에게서 다 발견되는 건 아니고 꼭 미국 학생들에게서만 발견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나에게 이니셔티브에 대해 가장 큰 인상을 남긴 학생은 사실 미국인이 아니라 남미 콜롬비아에서 온 대학원 동기였다. 세계은행에서 일하다가 온 이 동기는 입학할 때부터 부패 문제를 연구하겠다는 생각이 매우 분명했다. 입학할 때는 비교정치였다가 나중에 미국정치로 세부 전공을 옮겼기 때문에 초반에는 이 동기와 수업을 같이 많이 들었다. 나처럼 외국인 특유의 억양이 있는 영어지만, 꼼꼼하게 메모를 한 페이퍼를 들고 와서 매번 토론에 열띠게 참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니셔티브는 꼭 한 국가의 문화적 특징이 아니라, 한 분야를 이끌 수 있는 자질이 있는 사람들의 특징이다. 미국에서 한국보다 이니셔티브를 발휘하는 사람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는 건 이 큰 시장 속에서, 전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인재들 사이에서 경쟁을 하려면 이니셔티브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기 때문이다.
내 지도교수 때만 해도 지금 내 세대처럼 대학원에서는 통계를 깊이 배울 필요도 없었고,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 러닝 같은 말은 들어볼 일도 없었다. 시대가 바뀌면서 더 새롭게 등장해야 할 것들이 늘어난다. 우리가 학교를 평생 다니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경우는 누군가에게서 배우는 게 아니라, 스스로 배워야 한다. 전문가의 자격은 학위나 자격증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고, 새로운 해결법을 스스로 찾아내는 능력이다. 새로운 데이터 수집·분석 방법이 등장하고, 그 변혁에는 이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예외가 없다. 야구부터 정치학에 이르기까지 이제 우리는 모두 데이터 사이언스를 한다. 새로운 프런티어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제 뒤처지지 않는 법이 아니라, 스스로 앞장서는 법을 배워야 한다.
<김재연 UC 버클리 정치학과 박사과정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