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수살인-아무도 모르는 살인의 슬픔과 울분

최원균 무비가이더
2018.10.08

영화 <암수살인>은 모처럼 의심의 여지를 주지 않는 수작이며 외형적 규모보다는 작품의 내실에 있어 큰 장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제목 암수살인 (暗數殺人/ Dark Figure of Crime)
제작연도 2018년
제작국 한국
러닝타임 110분
장르 범죄, 드라마
감독 김태균
출연 김윤석, 주지훈, 문정희, 진선규
개봉 2018년 10월 3일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주)쇼박스

(주)쇼박스

추석 대목을 겨냥한 전례 없는 한국영화 대란의 판도가 어느 정도 가닥을 드러냈지만 아직 열기와 흥분이 채 가시지도 않은 시점에 또 한 편의 주목할 만한 한국영화가 개봉한다. 중견감독 김태균이 연출을 맡은 <암수살인>은 그동안 완성도나 흥행 면에서 꾸준히 평균 이상의 결과를 이끌어내며 한국영화의 대표 장르로 명맥을 잇고 있는 범죄 스릴러물의 연장선상에 놓인 작품이다. 솔직히 제목이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모호하기까지 하다. 농담 삼아 ‘야한 살인’이냐며 섹시 스릴러로 억지 오해하는 주변인도 있지만 영화가 시작되면 메인타이틀에 ‘아무도 모르는 살인’이라는 분명한 뜻을 규정하고 진행된다.

부산 마약수사대 소속 형사 김형민(김윤석 분)은 살인죄로 수감 중인 강태오(주지훈 분)의 편지를 받고 그가 자백한 일련의 살인들이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품게 된다. 이후 태오가 직접 작성한 진술서에 언급된 7개의 사건을 근거로 드러나지 않은 살인을 홀로 뒤쫓기 시작하지만 성과에 집착하는 동료형사들의 차가운 시선과 주변인들의 오해는 그의 노력을 힘들게 한다. 더욱이 결정적인 순간 진술을 뒤엎는 강태오의 변덕스런 행보로 인해 두 사람 관계는 단순한 형사와 범죄자를 넘어선 서로를 속고 속여야만 하는 경쟁관계로 서서히 변질되어간다.

모처럼 만나는 한국형 범죄 스릴러

범죄현장을 단서로 범인의 검거나 사건의 진실에 접근해가는 기존 범죄물에 역행해 범죄자의 유죄를 증명하기 위해 피해자와 범죄사실을 찾아간다는 독특한 전개 형태가 일단 흥미롭다. 그 과정에는 다양한 인간군상과 관계들이 뜻밖의 형태로 돌출되거나 녹아들어 결국 냉정하고 서글픈 우리 사회의 현실을 들여다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영화의 가장 큰 미덕은 감정적으로 크게 격앙될 수 있는 사건의 본질을 차분하고 냉정하게 재현하고 있는 시선이다. 재미 면에서라면 좀 더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한 소재였음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마지막까지 한 발짝 거리두기를 유지한다. 이는 관객에게 격한 감정을 종용하지 않으면서도 종국에 이르러서는 강렬한 여운과 울림으로 치환된다. 반면 주인공 형사 김형민의 입을 통해 드러나는 피해자들에 대한 연민과 책임감은 다소 과하다 싶은 생각까지 들 정도로 반복되기도 하는데, 작품이 취하고 있는 분위기에 대비되어 상대적으로 부각되는 것이며 작품 전체를 이끄는 중요한 주제이므로 너그러이 눈감아주고 넘어갈 수준이다.

배우 김윤석은 이야기가 전달하는 메시지와 더불어 기존의 정형화된 형사의 모습을 탈피한 주인공 형사 김형민이란 인물에 큰 매력을 느꼈다고 말한다. 실제 모처럼 자신에게 맞는 옷을 입은 것 같은 그의 풍성한 연기 안에는 인물에 대한 단순한 이해나 재연을 넘어서는 애정과 몰입이 느껴진다. 공교롭게 <신과 함께: 인과 연>, <공작>에 이어 이번 <암수살인>까지 연이어 얼굴을 내비치고 있는 주지훈 역시 이번 살인범 강태오 역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자신의 재능과 존재감을 십분 발휘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실을 존중한 연출과 연기의 힘

이런 캐릭터 강한 배우들의 호연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 데는 당연히 감독의 연출력이 큰 역할을 했다. 김태균 감독은 살인자의 말만 믿고 피해자에 대한 단서나 증거도 없는 사건을 파헤치는 한 형사의 열정과 집념에 마음이 열렸다고 회고한다. 반면 이 작품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완벽하게 창작된 허구라는 사실에도 분명한 선을 긋는다. 논픽션 영화들에 매번 족쇄처럼 뒤따르는 현실성에 대한 무의미한 논란과 책임을 애초부터 봉쇄하려는 의도로도 읽힌다. 그러나 영화는 의외로 많은 부분에서 실제 사건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뒤따른 흔적들이 발견된다. 감독은 영화화 과정에서 실제 범행 장소들을 수차례 답사하는 등 자료수집과 이해에 공을 들였다. 심지어 영화 속 무대로 등장하는 장소들은 상당수가 실제 사건이 벌어진 장소에서 로케이션 되었고 교도소의 접견실도 실제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영화 <암수살인>은 모처럼 의심의 여지를 주지 않는 수작이며 외형적 규모보다는 작품의 내실에 있어 큰 장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영화란 매체가 제공할 수 있는 장르적 재미는 물론 현실적 논읫거리까지 동시에 균형 있게 함의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은 더욱 반갑다. 최근 들어 흥행을 목표로 규모 키우기에 집중하거나 알량한 소재주의로 내달리는 한국영화계의 경향에 있어서는 충분히 모범이 될 만한 시도와 성과이기에 더더욱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실제 사건과 영화의 차이는 어디까지?

[터치스크린]암수살인-아무도 모르는 살인의 슬픔과 울분

영화 <암수살인>은 ‘범죄실화극’이라는 카피를 전면에 내걸고 실화임을 홍보에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최근 들어 멜로드라마, 공포, 코미디, 액션영화까지 너도나도 실화임을 내세우는 작품들이 많다보니 관객들 입장에선 “또 실화야?”란 볼멘소리가 나올 법도 한데 말이다. 실제로 이런 각성이 관객들의 감상이나 평가에는 무관하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에 증명됐다. 하지만 영화 <암수살인>에서 ‘실화’라는 단어는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알려지지 않은 살인’이라는 섬뜩한 모티브는 단순한 과거의 소재에 머무는 것이 아닌 아직 해결되지 않은 현재진행형의 범죄이기 때문이며 어둠의 깊은 곳에서 조용히 잊혀져간 누군가의 공포와 억울함을 담보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의 모티브가 된 실제사건은 2012년 11월 10일 토요일 밤 SBS-TV ‘그것이 알고 싶다’ 869회를 통해 “감옥에서 온 퍼즐: 살인리스트의 진실은?”이란 제목으로 방송되었다. 이날 방송을 시청하고 충격을 받은 김태균 감독은 이튿날 바로 부산으로 내려가 실제인물인 김정수 형사를 만났다. 감독은 애초부터 실제 사건이 갖는 의미와 메시지는 존중하되 영화화에 있어서는 철저히 새로운 각색을 진행했다고 고백한다. 그래서 영화 속에 등장하는 몇몇 사실을 제외한 대부분은 5년이란 시간 동안 심사숙고한 영화화의 허구적 산물이다. 하지만 당시 방송을 다시 보고 있노라면 영화가 보여주는 내용의 주요한 사건 맥락은 의외로 실제 사건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이 알고 싶다> 869회는 방송사 홈페이지의 다시보기 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볼 수 있다.

<최원균 무비가이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매체별 인기뉴스]

    • 경향신문
    • 스포츠경향
    • 주간경향
    • 레이디경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