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직전 ‘집 사겠냐’ 물었더니···“1년 내 산다” 73%

2025.06.30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발표 후 첫 월요일인 30일 서울 송파구의 부동산 밀집지역에 거래 관련 내용이 적혀 있다. 성동훈 기자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발표 후 첫 월요일인 30일 서울 송파구의 부동산 밀집지역에 거래 관련 내용이 적혀 있다. 성동훈 기자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발표 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년내 집을 사거나 팔겠다는 사람이 모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지난 4∼18일 직방 모바일 앱 접속자 524명을 대상으로 향후 1년 동안에 대한 부동산 거래 의향을 물은 결과(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4.28%포인트), ‘매입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전체의 73.1%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매도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4.8%였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매입 계획은 8.4%포인트, 매도 계획은 8.3%포인트 각각 늘었다.

최근 가격 상승 흐름 속에서 실수요자의 진입 의지가 강화되는 모습이 나타난 것으로 직방은 해석했다.

매입 사유로는 ‘전월세에서 자가로의 전환’(41.3%)이 가장 높았다. 이어 ‘거주 지역 이동’(21.4%), ‘면적 확대·축소’(15.4%), ‘시세차익 등 투자 목적’(11.2%)이 뒤를 이었다.

반면 앞으로 1년 내 집을 살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26.9%)은 ‘기존 거주·보유 주택이 있어서’(31.2%)와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서’(30.5%)가 주요 이유로 집계됐다.

향후 1년 내 매도 계획이 있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든 사유는 ‘거주 지역 이동’(28.9%)으로 나타났다. 이어 ‘면적 확대·축소 이동’(19.5%), ‘차익 실현 및 투자처 변경’(13.6%), ‘대출 이자 부담’(11.1%) 등의 순으로 비중이 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와 ‘지금이 매도 적기’라는 판단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가 민감하게 시장에 반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사 후인 지난 27일 정부가 주택 구입용 대출을 6억원 이하로 제한하고, 수도권과 규제지역에는 6개월 내 전입 등 강도높은 규제를 발표하면서 향후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랩장은 “향후 시장은 대출 규제 강화, 매물 부족, 상승 피로감 등 누적된 요인과 함께 다시금 변곡점을 맞이할 수 있어 단기적 기대감보다는 재무 여건과 주거 계획에 맞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매체별 인기뉴스]

      • 경향신문
      • 스포츠경향
      • 주간경향
      • 레이디경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