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씨아저씨네, 차별 없는 과일가게
공석진 지음·수오서재·1만7000원
저자가 운영하는 ‘공씨아저씨네’는 과일을 전문으로 다루는 온라인 쇼핑몰이다. 사이트에 접속하니 지금이 딱 제철인 ‘천혜향’ 사진이 나타났다. 껍질 표면에 상처 자국이 있는 ‘못생긴’ 천혜향이다. 사진에는 가격표 대신 이런 문구가 붙었다. ‘이기철 농민 작(作)’
과일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대로 나오는 공산품이 아니다. “땅과 자연환경, 농민의 땀이 어우러진 합작품”이다. 기후위기 시대에 일정한 크기와 모양의 ‘예쁜’ 과일을 생산하는 건 점점 더 어려워진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예쁜 과일만 찾는다. 울퉁불퉁하거나 흠집 난 과일은 ‘B급’ ‘못난이’ ‘흠과’ 따위로 불리며 싼값에 팔린다.
‘외모 차별주의’가 판치는 과일 시장에서 공씨아저씨네는 과일을 차별 없이 판매한다. 몇 년 전에는 봄철 냉해로 전북 장수의 농부가 키운 사과에 동록(사과 껍질이 누렇게 변하는 현상)이 심했지만 판매를 강행했단다. 결과는 완판. 먹어본 사람은 안다. 동록 낀 사과는 단단하고 맛있다는 걸.
이 과일가게는 한 품목에 한 농민과 거래한다. 최고의 과일을 찾기보다는 좋아하고 존경할 수 있는 농민을 찾는다. 예컨대 방울토마토는 충남 홍성 세아유 농장과 복숭아는 경북 청도 양영학 농부와 거래한다.
세아유의 임영택 농부는 2022년 농작업 중 낙상 사고로 세상을 떠났지만, 공씨아저씨네는 다른 농장과 거래를 트지 않았다. 고인의 아내 김은애 농부의 토마토 농사가 본궤도에 오르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복숭아 역시 양영학 농부의 건강 악화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다른 농부를 찾지 않는단다.
저자는 “방울토마토 주인은 여전히 세아유 농장”, “나에게 복숭아는 양영학”이라고 말한다. 소비자 회원들도 같은 생각일 터다. ‘농부를 안다’는 게 이렇게 무섭다. 과일이 단지 상품으로 보이지 않는다.
루돌프 디젤 미스터리
더글러스 브런트 지음·이승훈 옮김·세종서적·2만3000원
독일 공학자 루돌프 디젤의 실종 사건을 다룬 논픽션. 디젤은 강력한 내연기관인 디젤엔진을 발명해 백만장자가 됐지만, 1913년 드레스덴호를 타고 도버해협을 건너던 중 실종됐다. 이 책은 천재적 발명가가 시대의 소용돌이 속에서 어떻게 사라졌는지를 추적한다.
무대 뒤에 사는 사람
이성모 지음·오르트·1만8000원
19년차 공연기획자인 저자가 무대를 만들며 경험한 일들을 풀어낸 책이다. 스마트폰 터치 한 번이면 수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시대에 공연을 만든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저자는 한 편의 공연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이야말로 가장 치열하고 아름다운 예술임을 전한다.
같은 하늘 아래서
서울대학교 학생사회공헌단 북소리팀 엮음·이매진·1만5000원
지난해 서울대 학생들이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인 반석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수업을 진행했다. 당시 반석학교 학생 7명이 쓴 수필, 시, 소설 등이 책에 담겼다. 엮은이들은 “같은 하늘 아래 살아가는 청춘들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 책을 냈다고 말한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