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닷컴(DeepSeek.com)에 접속해 어려운 문제 2개를 집어넣어 테스트해보았더니, 한 달에 20달러를 내야 하는 오픈AI의 챗GPT 플러스나 퍼플렉시티 프로 수준의 결과가 나왔다. 딥시크는 무료다. 그렇지만 개인정보가 걱정돼 단 두 번의 질문만 하고 로그아웃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는 한국 스마트폰의 앱스토어에서 딥시크앱을 차단하고 제거하는 조치를 내렸다. 딥시크앱은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제공하는 앱으로 개발돼, 사용하는 족족 개인정보가 바이트댄스로 넘어간다.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언제든지 중국 공산당이 볼 수 있다. 개보위가 한국에서의 딥시크닷컴 접속도 차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15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한국에서 사용했다는 소식이다. 많은 국민의 개인정보가 딥시크닷컴을 거쳐 중국 공산당에 넘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국도 한국의 네이버닷컴이나 카카오톡서비스 접속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피장파장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고마운 딥시크
그러면 딥시크는 안 쓰는 게 좋은가? 전혀 그렇지 않다. 딥시크는 V3, R1 등 최신 모델을 MIT 오픈소스로 제공한다. 즉 누구나 자기 회사의 유료나 무료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 단,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해야 한다. 이미 미국, 한국 등 세계의 수많은 기업이 딥시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뤼튼은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에 딥시크를 적용했다. 카카오톡 친구찾기로 뤼튼과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맺어 질문하면, 딥시크 모델을 가동시켜 답변한다. 마음AI는 딥시크 모델을 활용한 내부망 전용 LLM을 출시했다. 여러 기업 입장에서는 딥시크가 너무 고맙다. V3, R1과 같은 수백억원, 수천억원 가치의 AI 모델을 그냥 공짜로 내주고, 상업적으로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게 했으니 말이다. 오병이어의 기적을 일으킨 예수님과 비슷하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나 이준석 개혁신당 국회의원과 똑같이 1985년생인 량원펑은 중국 항저우 저장대 전자정보공학과 학부를 2007년에 졸업하고, 같은 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석사를 2010년에 졸업했다. 2008년부터 “인공지능이 세계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떠들었고, 많은 사람에게 무시당했다고 한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 동문과 함께 금융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AI 기반 퀀트 트레이딩 연구를 시작했다. 2010년에 대학원 졸업 후 대기업 입사 대신 청두에 있는 임대주택에 입주했고, 2008년부터 2014년까지 6년간 실패를 반복했다. 2011년엔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온실 환경 제어 IoT 시스템을 구축하는 스마트 농업 솔루션으로 시범 사업까지 갔다가, 농민들이 사용하기 어려워 실패한다. 2012년 말에는 드론 분야 세계최고 기업 DJI의 영입 제안도 거절한다. 2015년 중국의 주식시장이 폭락하자 동문과 퀀트 투자회사 High-Flyer(幻方·환팡)을 설립한다. 2016년 첫 AI 모델을 출시하고, 2018년 AI를 주요 발전 방향으로 설정한다. 2019년부터 엔비디아 GPU(그래픽처리장치) 클러스터 구축을 시작한다. 2억위안을 투자해 GPU 1100장을 탑재한다. 2021년 1만장 GPU 구축에 2000억여원을 투자한다. 퀀트 투자를 위해서라면 GPU 몇대만으로 충분했다고 하는데, 환팡의 클러스터 평균 점유율은 96%라고 한다. GPU를 풀가동할 만큼 각종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창업 4년 만인 2019년, 환팡은 약 2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중국 최대 퀀트 펀드 중 하나로 성장한다. 2021년에는 20조원을 운용하면서 평균 수익률에 비해 20~50%를 초과하는 수익을 내며 퀀트 업계의 천재, 중국 퀀트의 사대천왕으로 등극한다. 그런데 2021년 중국 개미들의 돈을 빨아가는 퀀트투자회사들에 대한 반감이 커지자 중국 당국은 고빈도 트레이딩과 공매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 2021년 말, 환팡은 투자자들의 추가 납입을 제한하고, 오히려 자금 운용규모를 1조원 이상 스스로 축소한다. 퀀트 규제로 인해 새로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2023년 5월 량원펑은 딥시크 AI를 환팡의 자회사 형태로 창업하고 8개월 만인 2024년 1월 V1을, 2024년 5월 V2를 출시해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는다. 2024년 12월 V3를 출시하고, 1개월 만에 이를 업그레이드한 R1을 출시하면서 모델의 가중치를 다 오픈해 세계를 놀라게 한다.
새로운 문화와 생각으로 무장한 새로운 존재
중국의 딥시크를 저가의 짝퉁이나 만드는 회사로 생각하면 큰코다친다. 딥시크는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일을 하자’는 것이 문화다. 퀀트 투자도, 지금 인공지능에 도전하는 것도 그것이 중요하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까에 집중한다. 사장 본인이 매일 코드를 짜고 실행한다. 학력보다 역량을 우선한다. 핵심 기술은 주로 신입이나 경력 1~2년 된 사람을 뽑아 도전한다. 시간과 돈이 많이 든다고 해도 새로운 문제에는 새로운 해답이 필요하기 때문이란다. 혁신은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계획되거나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은 개입과 관리가 필요하고, 탐구할 공간과 실수를 허용할 자유를 제공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인재를 채용할 때 회사와 인재의 가치가 일치하는지를 보고, 그러한 문화를 통해 방향을 유지한다.
딥시크는 순수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집단이라고 주장한다. 특정 분야를 정해서 응용 연구와 탐구에 집중한다. 량원펑은 진정한 혁신은 상업적 인센티브뿐만 아니라 호기심과 창조의 욕구에 의해 추진된다고 주장하며, 존경을 받기 위해 딥시크 R1을 개방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R1을 세상에 무료로 완전 개방함으로써 진짜 존경을 받고 있다. 일찍이 GPU에 투자한 것도 금융시장을 완전히 설명 가능한 패러다임과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면서 “절실할 만큼 야망을 품고 절실할 만큼 진실하라”는 영화감독 프랑수아 트뤼포의 말을 인용한다.
량원펑은 AI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을 한 듯하다. 벤처캐피털(VC)은 결국 투자액회수를 통해 투자한 자금을 최대한 빨리 돌려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거대한 꿈에 VC가 투자하기를 꺼린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AI 연구 자금은 환팡에서 지원받고, 부족한 것은 기술 기부금으로 충당한다. 단기적인 자금 조달 계획은 없다고 한다. 기초 모델과 최첨단 혁신에 집중할 것이며, 다른 기업들이 딥시크의 기반 위에서 B2B와 B2C 비즈니스를 구축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량원펑은 소수의 기술 독점을 반대하고, 딥시크의 개방전략이 장기적으로 더 많은 돈을 벌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오픈소스와 논문 발표는 무언가를 잃기만 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자들에게 성취감이 따라온다는 것이다. 오픈소스는 상업적 행위보다 문화적 행위로, 독특한 문화를 조성해 인재를 끌어들인다고 믿는다.
25년 전 닷컴 열풍 시절 사람들은 구글, 페이스북 등 인터넷 기업이 수익 모델이 없어서 거품이라고 했지만, 지금은 커다란 플랫폼이 됐다. 15년 전 카카오톡이 나왔을 때도 카카오는 망할 거라고들 했지만, 카카오는 플랫폼이 됐다. 딥시크의 오픈소스 전략 역시 지금 이해하기 어려운 비즈니스 모델이지만, 세상을 뒤흔들고 있다. 딥시크는 새로운 문화와 생각으로 무장한 새로운 존재다.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빅데이터 응용학과·첨단기술 비즈니스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