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차 간격부터 바꿔야

2024.08.12

이효상 기자

이효상 기자

“초등학교 졸업하고 3명이 이사 갔어요. 중학교 문제 때문에.”

충남 홍성군 장곡면에 학교는 초등학교 하나만 있습니다. 이 초등학교 졸업생들은 인접한 읍·면에 있는 중학교에 다닙니다. 거리 자체가 엄청 멀다고 할 수는 없는데, 교통이 문제입니다. 버스 노선 자체가 많지 않고, 배차 간격도 깁니다. 이 지역 중학생들은 부모님 도움이 없으면 새벽같이 일어나 첫 버스를 타고 등교해야 합니다. 험난한 등하교에 10명 남짓의 졸업생 중 3명이 이사를 했다고 합니다.

지역 학생들의 등하교 문제를 작은 문제로만 볼 수 없는 이유입니다. 학교가 없다면, 등하교가 여의치 않다면 주민들은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있던 사람도 떠나는 판에 새로운 이웃이 모여들기를 기대하기는 더 어렵습니다. 지금 남아 있는 학생들의 등하교 문제를 방치한다면 지역소멸은 더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지역소멸은 배차 간격을 바꾸고, 노선을 조정하는 작은 부분에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취재하면서 지역의 대중교통망이 성길 수밖에 없는 이유를 어느 정도는 알게 된 것 같습니다. 대부분 지역이 면적은 넓고 사람은 적습니다. 그렇다고 차를 아예 안 보낼 수도 없으니 노선 자체가 많습니다. 한정된 자원에 노선이 많다 보니, 자연히 노선별 배차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막차 시간이 오후 6~7시로 이른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빨리 끊기는 막차는 청소년들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있거나, 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은 자정을 조금 앞둔 시간에 귀가합니다. 마땅한 교통편이 없으니 지역 학생들의 선택은 기숙사 생활이나 부모님 도움, 과도한 택시비 지출 중 하나일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체 이동수단 마련을 고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버스회사의 반발에 부딪히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버스회사의 적자 노선 보전을 위해 지자체는 수십억원을 지출하고 있는데 여전히 대중교통망은 열악하고, 이를 지자체가 다른 수단으로 보완하고자 하면 버스회사가 적자 심화를 이유로 반발합니다. 어쩌면 버스회사 운영에서 공공의 책임을 늘리는 것이 해법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닐까요.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매체별 인기뉴스]

      • 경향신문
      • 스포츠경향
      • 주간경향
      • 레이디경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