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임소정 기자
2023.07.24

‘너무도 차별적인’ 감염병 재난

<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김승섭 외 지음·동아시아·2만원

[신간]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누군가 “K방역은 성공적이었다”라고 말할 때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3년을 ‘성공’으로만 기억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바이러스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지만, 재난의 피해는 늘 차별적이다. 이주민은 끊임없이 자신들이 ‘국민’이 아님을 절감했다. 장애인은 코호트 격리시설에 갇힌 채 모든 기본권을 박탈당했지만, 출퇴근 노동자들에 의해 속절없이 감염됐다. 아동은 학교에 가지 못했고, 여성들은 고용시장에서 이탈해 그 아동을 돌보는 부담에 내몰렸다. 비정규직은 ‘위험의 외주화’에 노출됐지만, ‘아플 때 쉴 권리’조차 남 일이었다. 이들이 겪던 차별은 코로나19 팬데믹을 만나 증폭됐다. 책은 팬데믹이 그저 바이러스가 만든 재난이 아니라 “한국사회와 코로나19가 만나 생겨난 재난”이라고 말한다. K방역이란 이름에 가린 37명의 활동가 인터뷰가 생생함을 더한다.

▲김대중과 중국
이남주 외 지음·연세대 출판문화원·1만8000원

[신간]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미·중 대립 속에 한·미관계에만 집중하다 대중 외교는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고 김대중 대통령(DJ)이라면 지금 뭐라고 말할까. DJ는 냉전 시대에도 동북아 지역에서 소련보다 중국의 영향력을 중시했다. 1982년에 이미 중국이 경제개발에 성공하면 중화주의에 기반을 둔 ‘대국적 속성’을 드러내리라 예측하기도 했다. 정치 입문기인 1950년대부터 집권기까지의 말과 글을 통해 DJ의 대중국 인식과 외교 전략을 분석했다. 중국 학자들이 바라본 DJ에 관한 논문도 함께 실렸다.

▲나의 조현병 삼촌
이하늬 지음·아몬드·1만7000원

[신간]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커밍아웃하면 바로 아웃”이라서, 조현병 앓는 삼촌을 “죽을힘을 다해 숨겨온” 조카의 고백이다. 삼촌의 삶이 “불쌍하게 죽었다”로 남지 않길 바라기에, 세상이 정신장애를 편견 없이 대하길 바라기에 가족들을 인터뷰하고 기록했다.

▲친구를 입양했습니다
은서란 지음·위즈덤하우스·1만6000원

[신간]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한 비혼 여성이 50개월 어린 다른 비혼 여성을 입양했다. 둘은 5년을 함께 살아온 친구 사이. 병원에서 위급한 상황이 됐을 때 서로가 보호자가 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가족’에 관한 내 안의 편견을 깨닫게 해준다.

▲할머니의 그림 수업
최소연 지음·김영사·1만7800원

[신간]우리의 상처가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外

“종이가 경(여기) 있으니까 호끔(조금) 기렸지(그렸지)”, “마음속 말이 그림으로 나오니 그게 해방이주.” 제주 선흘 마을 할망들의 창고가 예술 창고로 바뀌었다. 80대 할망들이 그림 옆에 적은 설명이 정답다.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매체별 인기뉴스]

      • 경향신문
      • 스포츠경향
      • 주간경향
      • 레이디경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