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을 묻다
4·16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 재난참사기억프로젝트팀 지음·서해문집 펴냄 1만3500원
세월호 이전에도 국가의 무능과 자본의 이익 극대화로 인한 재난 참사가 있었다. 다만 세월호 이전과 이후 달라진 것이 있다면, ‘희생자’라는 명명 속에 사상자 숫자로만 남은 이들의 이야기에 주목해 이를 집단적 기억으로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금요일엔 돌아오렴>, <다시 봄이 올 거예요> 두 권의 책으로 이 작업을 이어왔던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이 국가의 무책임과 시간의 망각에서 잊혀져 가는 7건의 재난 참사를 꺼내와 되짚었다.
세월호 참사 3주기에 맞춰 발간된 책이지만, 책은 세월호 이전 벌어진 7건의 재난 참사를 차례로 소환해 왜 이 땅에서 이런 참사가 반복되는지 묻는다. 1979년 남영호 침몰 참사부터 1999년 씨랜드 화재 참사,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2011년 춘천 봉사활동 산사태 참사, 2013년 여수국가산단 대림산업 폭발 참사와 같은 해 벌어진 태안 해병대 캠프 참사, 2014년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참사까지. 꼬박 2년 6개월이 걸린 작업기간 동안 피해자를 수소문하고, 유가족을 만나 증언을 듣고, 관련 장소를 찾고 자료를 살폈다. 무엇보다 이 기록이 소중한 것은 <금요일엔 돌아오렴>이 그랬던 것처럼 국가와 자본이 외면하고 찍어 눌렀던 희생자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를 되살렸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오래돼서, 현재라서, 해결되지 않아서, 쉽게 지워져서 등등의 이유로 기록이 쉽지 않았고, 상흔으로 얼룩진 마음은 쉽게 열리지 않았다”고 말한다. 각자 다른 시공간과 이유에서, 그러나 동시에 지독한 생명 경시라는 일관된 원인에서 반복됐던 재난 참사들을 소환하며 하나의 진실이 명료해진다.
“기억이 기록되지 않는 이상 진실에 닿을 수 없다. 기억과 기록이 가능할 때만, 그래서 진실이 드러날 때만 합당한 치유와 보상, 유사 사건 재발 방지, 용서와 화해를 통한 공동체의 회복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